초록close

본 연구는 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이주여성들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을 3개 생활영역(결혼생활과 가족관계, 취업 및 경제활동, 사회적 관계)으로 구분하여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 복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결혼이주여성 10명(한족 7명과 조선족 3명)이며, 자료 수집을 위해 개별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중심주제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분석 방법은 특정한 이론적 틀을 적용하기보다 자료를 읽으면서 나타나는 중심주제를 찾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통해 중심주제와 소주제, 핵심 개념(단어, 구)을 도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모도우미 및 아이 돌봄과 같은 찾아가는 서비스는 이주여성들의 자녀출산과 양육에 도움이 되고 있다. 하지만 자녀가 성장하면서 이주 배경은 어머니로서의 역할 수행에 장애가 된다. 둘째, 직업 확보를 위해 노력하지만 노동시장 진입에 있어 장벽을 경험하며, 불안정한 일자리에 머무른다. 셋째, 이주 초기에는 사회적 관계 형성에서 취약한 특성을 보이나 한국생활에 적응 후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시켜 나간다. 한편,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이원화된 전달체계와 분절된 복지 정보로 인해 접근성에 있어 제약을 경험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결혼이주여성들의 생활 속에 나타난 복지와 관련된 의미 있는 경험들을 주제화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다문화사회 구현에 필요한 실질적인 내용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결혼이주여성과 그들이 속한 다문화가족의 복지를 담보하는 것은 사회통합에 있어 수반되어야 하는 필수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결혼이주여성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o the social adaptation process in three living areas (married life and family relationships, employment and economic activities, social relations)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who immigrated to South Korea. On the basis of the result it intents to offer implications for their family welfare. The study participants was adapted ten migrant women(seven Han Chinese and three Korean Chinese), and the data collection carried out the in-depth interview. Data analysis is utilized mainly an analysis of the central theme in the area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his analysis is the search for not how to apply a specific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data, but how to find a central theme that appears. Through this method,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entral theme, small scale, and core concepts(words, phrases) was repe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ting services such as maternity helper and child care are helping migrant women to give birth and bringing up children. However, as the child grows, the migration background becomes an obstacle to her role as a mother. Second, while trying to secure jobs, they experience barriers to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nd remain in unstable jobs. Third, in the early stage of migrant migration, it is weak in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 but after adapting to the life in Korea, social networks are extended through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Fourth, in the process of using welfare services, we experience constraints on accessibility due to dualized delivery system and segmented welfare information. This study subjects the meaningful experiences related to welfare in the life of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substantial content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guarantee of the welfare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were introduced into our country, is an essential factor to be involved in social 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policy for social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immigrant women.


키워드close

Marriage migrant women, multicultural families, social welfare, social integration, case study